Article

함께 알아가는 마음첵 Article

HRV Series #2 심박변이도 검사의 장점

조회수 145


안녕하세요. 마음첵 Article Editor 입니다:)

저번 아티클에서는 심박변이도 (HRV: Heart Rate Variability)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HRV Series #1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심박변이도 (HRV: Heart Rate Variability) 굉장히 오래된 개념이고,
지금도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 기술이에요.

오늘은 ‘심박변이도 (HRV: Heart Rate Variability) 검사의 장점’ 에 대해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박변이도 검사와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심박변이도 검사는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의
활성도와 균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효율적인 검사 방법이에요.

신박변이도 검사의 장점으로는 검사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며, 검사 결과를 컴퓨터 분석을 통해
측정 직후에 바로 확인 할 수 있어요.

또한 결과에 대한 재현성이 높아, 동일한 조건에서
충분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 측정하여도 결과값을 일관되게 얻을 수 있는게 포인트에요!

좀 말이 어려운 거 같죠?

우선적으로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에 대해 이야기 해 볼게요.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ANS)의
교감부와 부 교감부의 역할”


자율신경계에는 교감부, 부 교감부로 나누는데

자율신경계에서 신체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뒤,
교감부를 통해 신체 작용을 자극하여 반응하거나,
부 교감부를 통해 이를 억제한다고 해요.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교감신경과 부 교감신경은 서로 반대의 작용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면서 상호작용으로 이해해야하며,

각각의 역할로는 교감신경은 혈관이나 내장에 있으며, 혈압 상승, 혈관 수축, 괄약근의 수축을 일으키고,
부 교감신경은 신체가 흥분되면 심장의 구실을 억제하며 소화기의 작용을 촉진해요.

정리하자면,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는
신체 내부 작용으로 혈압, 심박수 및 호흡수, 체온, 소화, 대사(체중에 영향을 미침),
수분과 전해질(나트륨, 칼슘 등)의 균형, 체액(침, 땀 및 눈물)의 생성, 배뇨, 배변, 성적반응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이에요.



”심박변이도 

(HRV: Heart Rate Variability) 

검사의 장점”

결국 심박변이도를 통해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을 검사하는 것은
시간적, 공간적, 환경적으로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요.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동반하는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와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개인의 생리적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스트레스로 인한 자율신경계 활성도 및 균형도의 변화를 검사하고,
스트레스 관련 질환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고 해요.

현재 심박변이도 검사는 개인의 심리 및 정서적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히 심박변이도 ( HRV: Heart Rate Variability )
검사의 장점에 대해 알아봤는데, 도움이 되셨을까요?

다음 아티클은 특별편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기 보고식 검사(심리 설문조사)의 한계’ 에 대해 써보려고 해요.

시간나실 때 꾸준히 읽으시면,
HRV에 대하여 어디서든 이야기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실 수 있을거에요.

다음 아티클 때 뵙겠습니다.

마음첵. Article Editor 였습니다!

0

Article

비접촉 심박수 측정에 대해 알아보기